2025년 을사년 푸른 뱀의 해 삼재 돼지띠 토끼띠 양띠
2024년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다가올 2025년은 을사년 '푸른 뱀의 해'인데요. 푸른 뱀의 해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을사년 푸른 뱀의 해에 삼재에 해당하는 띠는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을사년 푸른 뱀의 해
12간지 순서와 동물
12간지란?
12간지는 땅을 지키는 열두 마리의 신장을 뜻합니다. 주로 동아시아에서 사용하고 시간, 연도, 방위 또는 운세 등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쥐, 뱀, 말, 원숭이, 닭, 개때는 모든 나라가 동일하게 사용하지만, 나라별로 동물이 조금씩 차이 나기도 합니다.
12간지순서
1. 쥐(자, 子)
2. 소(축, 丑)
3. 호랑이(인, 寅)
4. 토끼(묘, 卯)
5. 용(진, 屒)
6. 뱀(사, 巳)
7. 말(오, 午)
8. 양(미, 未)
9. 원숭이(신, 申)
10. 닭(유, 酉)
11. 개(술, 戌)
12. 돼지(해, 亥)
2025년 을사년 푸른 뱀의 해
2025년은 육십간지 중 42번째 해인 을사년 푸른 뱀의 해입니다.
을사년의 '을'은 목(木) 나무를 의미하고, '사'는 뱀(巳)을 의미합니다. 나무는 청색을 상징하기 때문에 '푸른 뱀의 해'라고 합니다.
을사년은 목의 에너지를 가져서 성장과 변화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2025년에는 개인적 발전과 나라, 사회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해입니다. 목의 특성상 새로운 것들을 배우기에도 적당한 시기로, 목표를 세워 실행하여 옮겨 보기에도 좋은 해입니다.
푸른 뱀의 특징을 살펴보면, 12신 중 뱀은 풍요와 불사를 상징합니다. 또한 지혜롭고 현명한 동물로 보통 논리적이고 신중한 성격이라고 합니다. 청색은 젊음, 생명, 활기 등을 상징하는 색으로 2025년 '푸른 뱀의 해'는 희망찬 한 해를 의미하며 재물운과 문서운이 상승하는 해로 투자나 창업등에도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합니다.
2025년 삼재띠
삼재란?
삼재는 특정 띠가 3년 동안 겪는 재난이나 불운의 시기를 말하는데 9년 주기로 돌아옵니다. 이 시기는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로 나뉘며 총 3년 입니다. 삼재는 조선시대의 민간신앙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삼재에 해당하는 해는 조심스럽게 행동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조심해서 나쁠 건 없으니까요.
1. 들삼재
- 삼재가 시작되는 시기로, 불운이 서서히 다가오는 시기입니다.
- 새로운 일을 시작하거나 큰 변화를 시도하기에 부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눌삼재
- 삼재 중에서도 가장 강한 영향을 받는 시기입니다.
- 건강, 재물, 인간관계 등에서 어려움이 클 수 있어서 신중함이 요구됩니다.
3. 날삼재
- 삼재의 마지막 단계로, 불운이 서서히 줄어드는 시기입니다.
- 지나온 어려움을 극복하며 새로운 시작을 준비할 때입니다.
2025년 삼재띠
2025년 삼재띠에 해당하는 동물은 돼지띠, 토끼띠, 양띠입니다.
돼지띠는 들삼재 기간에 주식 투자, 사업 등 보다는 현재를 유지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토끼띠는 건광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양띠는 재정적 관리에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복삼재
삼재기간에도 오히려 좋은 일이 생길 수 있는 시기를 '복삼재'라고 합니다. 삼재가 오히려 복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하네요.
2025년 복삼재로는 돼지띠이고, 그 중에서 신해생 돼지띠(1983년)는 좋은 기운이 있다고 합니다.
2025년 삼재 띠라고 해서 걱정이 앞설 필요는 없습니다. 삼재는 단순히 불운의 시기가 아니라, 자신을 돌아보고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시간이 될 수 있답니다. 삼재는 누구에게나 찾아오지만,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집니다. 건강을 더 챙기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신중하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다보면 좀 더 발전된 나로 삼재를 보낼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신청 기간 대상 방법 (3) | 2025.01.05 |
---|---|
와인잔 세척하는 방법 와인잔 보관방법 (0) | 2024.12.29 |
2025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점 (3) | 2024.12.09 |
1기 신도시 선도지구 분당 일산 평촌 중동 산본 (4) | 2024.12.01 |
부동산 등기부등본 무료열람 등기부등본 조회하기 (5) | 2024.10.06 |